일반 신입 사무직의 경우, 평균적으로 연봉을 1800 – 2200 정도로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2200을 받는다고 해도 한 달 평균 169만원의 월급을 받는 셈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죠. 보통 세전 금액으로 책정된 가격일 확률이 높은데요. 여기서 종합소득세와 4대보험비 등등 세금으로 나가는 액수를 제외하면 제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숫자는 더욱 더 낮아지게 되는데요. 실급여계산기를 통해 순수 이득이 얼마 정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걸 알면 연봉 수령액 도 알 수 있는데요. 보통 구직 사이트에 1년에 얼마만큼 받는 지 나와있지만, 그것 역시 세전일 확률이 높으므로 그 숫자가 적혀진 대로 모두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가장 쉽게 알아보는 방법으로 한 취업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사람in 이라고 하는 웹페이지에 들어가 줍니다.

 

 

동그라미 쳐준 곳의 네 가지 UI 중 마음에 드는 것 아무거나 하나 고르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가장 눈에 띄는 학점 변환기를 눌러보았습니다.

 


 

심심해서 학점 변환을 해봤습니다만, 이것은 실급여계산기와 관계가 없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오른쪽에 있는 연봉계산기를 눌러주는 것인데요. 학점변환이 필요하신 분들은 학점변환기로 값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취업성공 도우미 두 번째 칸을 눌러줍니다.

 


방금 보여드렸던 것과 비슷하게 나오는데요. 연봉과 월급 중에 선택하시고, 금액과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 등을 입력하시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세요

 

 

가장 처음에 말씀드렸던 169만원을 기준으로 1만원 더 추가하여 170만원을 잡았습니다. 부양가족수나 다른 것은 건드리지 않았어요.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오른쪽에 바로 실수령액이 뜨게 되는데요. 이 금액 기준,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실제 액수는 1,553,370원 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사진 가장 아래쪽에 보시면 연봉계산, 궁금해요! 라고 나와 있는데요.

빨간색으로 표시된 국세청 간이세액표라는 글자를 눌러줍니다.

 


 

그럼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방법 등이 나오는데요, 아래쪽에서 한 달에 내가 납부하는 세금을 알 수 있습니다. 똑같은 금액을 입력해 주시고, 조회를 눌러줍니다.

 

 

그럼 이렇게 세금의 값이 산출되어 나오게 됩니다.

 

 

이 값을 기준으로 연봉 수령액 도 알 수 있겠죠? 구직사이트에 기재되어 있는 숫자들이 모두 저의 것이 되면 좋으련만 매달 빠지는 돈들도 상당한 것 같네요. 본인이 다니고 싶은 곳에서 나에게 주는 매달 액수를 알고 싶다면, 또는 지금 받는 금액이 터무니 없이 적게 느껴진다면 실급여계산기를 통해서 실수령액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잡코리아맞춤법검사기로 똑똑한 자소서쓰기

 과일꿈해몽 꿈풀이 태몽인 경우가 많다는데

 육아휴직확인서 뽑는 간단한 방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