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신입 사무직의 경우, 평균적으로 연봉을 1800 – 2200 정도로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2200을 받는다고 해도 한 달 평균 169만원의 월급을 받는 셈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죠. 보통 세전 금액으로 책정된 가격일 확률이 높은데요. 여기서 종합소득세와 4대보험비 등등 세금으로 나가는 액수를 제외하면 제가 실제로 받을 수 있는 숫자는 더욱 더 낮아지게 되는데요. 실급여계산기를 통해 순수 이득이 얼마 정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걸 알면 연봉 수령액 도 알 수 있는데요. 보통 구직 사이트에 1년에 얼마만큼 받는 지 나와있지만, 그것 역시 세전일 확률이 높으므로 그 숫자가 적혀진 대로 모두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가장 쉽게 알아보는 방법으로 한 취업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인데요. 사람in 이라고 하는 웹페이지에 들어가 줍니다.
동그라미 쳐준 곳의 네 가지 UI 중 마음에 드는 것 아무거나 하나 고르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가장 눈에 띄는 학점 변환기를 눌러보았습니다.
심심해서 학점 변환을 해봤습니다만, 이것은 실급여계산기와 관계가 없습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오른쪽에 있는 연봉계산기를 눌러주는 것인데요. 학점변환이 필요하신 분들은 학점변환기로 값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는 취업성공 도우미 – 두 번째 칸을 눌러줍니다.
방금 보여드렸던 것과 비슷하게 나오는데요. 연봉과 월급 중에 선택하시고, 금액과 부양가족수, 20세 이하 자녀수 등을 입력하시고 계산하기를 눌러주세요
가장 처음에 말씀드렸던 169만원을 기준으로 1만원 더 추가하여 170만원을 잡았습니다. 부양가족수나 다른 것은 건드리지 않았어요. 계산하기를 눌러주시면 오른쪽에 바로 실수령액이 뜨게 되는데요. 이 금액 기준,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실제 액수는 1,553,370원 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사진 가장 아래쪽에 보시면 연봉계산, 궁금해요! 라고 나와 있는데요.
빨간색으로 표시된 국세청 간이세액표라는 글자를 눌러줍니다.
그럼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방법 등이 나오는데요, 아래쪽에서 한 달에 내가 납부하는 세금을 알 수 있습니다. 똑같은 금액을 입력해 주시고, 조회를 눌러줍니다.
그럼 이렇게 세금의 값이 산출되어 나오게 됩니다.
이 값을 기준으로 연봉 수령액 도 알 수 있겠죠? 구직사이트에 기재되어 있는 숫자들이 모두 저의 것이 되면 좋으련만 매달 빠지는 돈들도 상당한 것 같네요. 본인이 다니고 싶은 곳에서 나에게 주는 매달 액수를 알고 싶다면, 또는 지금 받는 금액이 터무니 없이 적게 느껴진다면 실급여계산기를 통해서 실수령액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dra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남대입장료 이만큼만 내도 이용가능해 (0) | 2017.07.10 |
---|---|
하이브리드자동차구매보조금지원 받는 방법 (0) | 2017.07.10 |
잡코리아맞춤법검사기로 똑똑한 자소서쓰기 (0) | 2017.07.10 |
과일꿈해몽 꿈풀이 태몽인 경우가 많다는데 (0) | 2017.07.10 |
육아휴직확인서 뽑는 간단한 방법 (0) | 2017.07.10 |